낙엽성활엽교목 썸네일형 리스트형 밤나무[묘목 심는시기와 방법,개화시기,밤 떨어지는 수확시기,밤 따는 수확법,병충해 방제,약제(농약) 소독시기] 밤나무는 뿌리를 넓고 깊게 뻗으며 생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토양의 가뭄에 강하고 토양의 적응력이 넓은 참나무과 낙엽활엽교목으로 토심이 깊고 배수가 잘 되며 유기질이 풍부한 비옥한 토양산도 약산성(pH5.0~6.0)의 양토나 사질양토에서 생육이 왕성합니다 밤나무 재배지는 서향 보다는 동향이 보다 좋으며 햇빛이 잘 드는 양지바른 곳,겨울철 날씨가 너무 춥지 않은 곳,여름철 강우시 배수가 잘 되는 곳,바람이 강하게 불지 않는 곳에서 재배해야 생육장해의 발생이 적고 밤 품질이 좋아집니다 밤나무 재배의 적지는 연평균 기온이 10~14°C 정도,4~10월의 평균기온이 16~20°C 정도인 지역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 각지에서 밤나무 재배가 가능합니다 오늘은 밤나무 재배와 관련한 밤나무 묘목 심는시기와 심는방법.. 더보기 대추나무 묘목 심기[심는시기,대추 개화시기,수확적기와 수확방법] 대추나무의 원산지는 유럽 동남부와 아시아 동남부 지역으로 대추나무는 키가 7~8m의 높이로 자라는 갈매나무과 낙엽교목입니다. 대추나무는 연평균 기온이 8°C 이상,연중 최저온도가 -28°C 이상인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이 재배의 적지로 대추나무는 내한성,내건성 및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토양의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사질양토에서 생육이 왕성합니다 대추나무는 토양의 적응력이 비교적 넓고 강한편이지만 토양이 습한 곳에서는 매우 취약해 단기간의 침수에도 낙과율이 상승하고 잎이 말라가며 고사하는 등 피해가 발생되므로 대추 재배지를 결정할 때는 토양이 습한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추는 풍요와 다산의 의미가 담겨 있는 과실로 혼례를 마치고 폐백할 때 다산,다남을 기원하는 의미로 대추를 신랑,신부에게 던져.. 더보기 살구주 만드는법(담그는법)과 살구 수확시기 살구나무는 키가 5m의 높이로 자라는 장미과 낙엽소교목으로 원산지는 중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살구나무의 열매가 바로 살구입니다. 매년 4월이 다가오면 살구나무에는 연분홍의 화사한 살구꽃이 만발하여 눈송이 처럼 떨어지며 아름다운 풍경을 우리에게 선물로 선사합니다 살구꽃이 피고 지고 떨어져 5월에 접어들면 조그마한 살구 열매가 달려 비대를 시작하고 5월 하순이 다가오면 과육이 서서히 주황색 빛깔로 변해가며 살구 과실이 익어갑니다 중부지방의 살구 수확시기는 6월 중순 전후로 잘 익은 주황색의 살구 열매가 살구나무 아래로 한 두개씩 떨어지기 시작하면 그때가 살구 수확의 적기입니다 수확한 살구는 상온 상태로 방치하면 빠른 속도로 과육이 상하기 때문에 오늘은 서둘러 수확한 살구를 이용하여 살구청과 살구주 담그기를 시.. 더보기 매실주 담그기(담그는법) 비율과 매실의 독성물질 매실은 매화의 열매로 매년 3월이 다가오면 매화꽃이 피고 열매가 달려 비대가 시작되며 매실은 지역에 따라 5~6월에 걸쳐 수확을 합니다 매실의 과육에는 유기산,지질,칼슘,칼륨 등 여러가지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항암,항균효과는 물론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능이 뛰어나 매실 제철에 매실청,매실장아찌,매실주를 만들어 두었다가 수시로 이용하면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매화나무에 주렁주렁 달려있는 매실을 따서 칼을 이용해 2등분으로 쪼개고 과육속 씨 상태를 살펴보니 이미 씨가 단단하게 영글어 있는 것으로 보아 지금이 매실 수확의 적기로 판단됩니다 집 뒷편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매화나무는 특별히 화학비료나 살충재 등을 전혀 살포하지 않아 자연친화적으로 자생하는 관계로 벌레먹은 매실도 간간이 눈에 보이.. 더보기 수확한 매실(청매,황매)로 매실청,매실주 담그기,만들기 매년 5월 하순에 접어들면 매실나무의 열매인 매실의 과육이 통통하게 비대하며 수확시기가 도래합니다.주로 매실청 만들기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매실은 신맛이 강한 푸른 빛깔의 청매로써 수확시기는 5월 하순~6월 중순입니다 1.매실(청매,황매) 수확 올해에는 청매를 이용한 매실청을 담글 목적으로 집 뒷편 언덕에 자생하고 있는 매실나무에 주렁주렁 열린 매실(청매)을 수확(6월 9일)한 모습으로 특별히 거름이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관계로 다소 비대가 부실하거나 병충해가 있는 것은 정리하고도 매실청과 매실주 담그기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한 수확량입니다 6월 초순 매실나무에 달린 푸른 빛깔의 매실인 청매를 수확하고 일부는 수확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더니 7월 초순에 접어들면서 과육이 노란 빛깔의 황매로 익어가며 하나~.. 더보기 살구효능,독성,부작용과 살구수확 살구나무는 수고가 5m의 높이로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 매년 4월 초순이 다가오면 집 뒷편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살구나무에는 연분홍 살구꽃이 한 바탕 피고 지면 살구 열매가 주렁주렁 달려 비대를 시작합니다 5월 하순이 다가오면서 살구의 과육이 황색 빛깔로 익어가더니 6월 중순에 접어들자 탐스럽게 익은 살구 열매가 하나~둘씩 땅 아래로 떨어지기 시작하며 살구 수확시기가 도래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듯 합니다 보통 살구 수확시기는 6월 중순~7월 중순경으로 이곳 중부지방은 매년 6월 중순이 되면 수확시기가 도래하며 본격적인 여름장마가 시작되기 전에 서둘러 살구 수확(6월18일)을 합니다 새콤달콤한 맛의 살구는 부패가 비교적 빨라 장기보관이 어렵기 때문에 6월 한철의 짧은 기간에만 생과로 즐길 수 있으며 수확한 살..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