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덕 재배법[생육특성(개화,토양,온도)과 재배관리(웃거름,재식거리,지주대 설치방법,적심,적화)]
더덕은 초롱꽃과 다년생 덩굴성 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중국 등 동아시아 및 인도 등의 산간지역에 40여종이 서식하고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은 더덕 재배법 관련 더덕의 생태적 특징과 생육적 특성(토양,광량,온도),더덕 재배시 요구되는 주요 재배관리 사항(웃거름주기,재식거리,지주대 설치형태와 설치방법,적심처리와 적화처리)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1.더덕의 생태 및 생육특성(1).더덕의 생태적 특징더덕은 잎이 서로 어긋나고 잎의 길이 3.0~10cm,너비 1.5~4.0cm의 크기로 가지의 윗쪽에서는 2개의 잎이 마주나거나 4개의 잎이 맞붙어 있습니다.더덕의 줄기는 덩굴성으로 주변의 나무 등 지지물을 타고 올라가며 2~3m의 크기로 신장하며 생육하는 줄기를 절단해 보면 더덕의 향이 나는 흰색의..
더보기
백수오(백하수오) 재배법[파종,개화,수확시기와 종근,모종심기,심는방법]
백수오(백하수오)는 주로 산지의 배수가 잘 되는 산기슭에서 자생하는 박주가리과 여러해살이 덩굴성식물로 내한성과 내건성이 강해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재배가 가능한 약용식물입니다 백수오 뿌리에는 [폴릭시프레그난]성분이 풍부해 이른 시기에 머리카락이 조기에 백발화되는 현상을 예방해 주고 병후쇠약,신경쇠약,빈혈 등의 증세 완화에 도움을 주는 효능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백수오(백하수오)와 하수오(적하수)는 서로 이름이 비슷하지만 식물분류학상 계통(과)가 다른 식물로 약효 성분과 한약의 용도 또한 전혀 다르다고 약용식물이라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백수오(백하수오) 재배법과 관련된 백수오(백하수오) 생태적 특성과 개화시기,직파재배시 씨앗 파종방법,파종시기와 수확시기,육묘 이식재배시 파종,모종 정식시기와 심는방법,종..
더보기
곤드레(엉겅퀴)재배법[거름주기(밑거름,웃거름),병충해 방제법,꽃 피는 개화시기,종자 채종]과 효능,먹는법
기온이 서늘하고 습도가 높은 산골짜기 나무숲이나 들에서 자생하는 곤드레(엉겅퀴)는 국화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동아시아,지중해 연안,북아메리카 남서부 등 세계 곳곳에 널리 분포하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곤드레는 고려엉겅퀴,고려가시나물,도깨비엉겅퀴 등으로 불리우고 있으며 곤드레는 기후가 서늘하고 습한 지역에서 생육이 왕성하지만 고온이나 공중 습도가 건조한 환경에서도 비교적 적응력이 강해 고랭지가 아닌 평지에서도 재배할 수 있는 산채류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곤드레(엉겅퀴) 재배법과 관련한 곤드레 재배밭 거름주기(밑거름,웃거름),병충해 발병과 방제법,엉겅퀴 꽃피는 개화시기와 종자 채종,곤드레(엉겅퀴)효능과 먹는법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합니다 1.곤드레(엉겅퀴) 재배밭 거름주기(밑거름,웃거름) 곤드레 재배밭은..
더보기
곤드레(고려엉겅퀴)재배법[파종시기,정식(아주심기),수확시기와 파종,모종심기,심는방법,수확방법]
곤드레는 바람이 불어오면 줄기의 흔들리는 모습이 마치 술에 취한 사람의 모습과 흡사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곤드레의 정식 명칭은 고려엉겅퀴이며 주산지는 강원도 정선지역입니다 곤드레(고려엉겅퀴)는 깊은 산속 서늘하고 공중습도가 높은 곳에서 키가 50~100cm의 크기로 서식하는 초롱꽃목 국화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토양을 그다지 가리지 않으나 곤드레는 토층이 두텁고 배수가 잘 되며 보수력이 좋은 약산성(pH5.5~6.5)의 유기물 거름이 풍부한 비옥한 충적 사질토양에서 생육이 왕성합니다 곤드레 제철은 5~6월로 곤드레에는 식물성 단백질,식이섬유,베타카로틴,칼슘,인,철분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빈혈,변비,,혈관계질환 및 암예방,뼈 건강에 효능이 있으며 풍미 또한 뛰어나 건강식품으로 주목받고 ..
더보기
당귀 재배법[직파,온상육묘,노지육묘 이식재배와 재배시기(파종,정식,수확시기),당귀 묘 아주심기 심는방법]
당귀의 재배방법에는 직파 재배,온상육묘 이식재배,노지육묘 이식재배가 있습니다.당귀는 깊은 산골짜기 나무숲속의 습한 곳에서 서식하는 미나리과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이기 때문에 고랭지의 전문농가에서 주로 재배하는 노지육묘 이식재배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당귀의 수확량과 품질이 제일 뛰어납니다 당귀를 전문적으로 재배하는 농가가 아닌 소규모의 텃밭재배에서는 노지에 종자를 직파하거나 당귀 심는시기에 모종을 구입해 재배하면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당귀 재배법인 직파재배,온상육묘 이식재배,노지육묘 이식재배와 관련된 당귀 종자 파종시기와 파종방법,당귀 묘 정식시기와 정식(아주심기)방법,수확시기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합니다 1.당귀 직파재배 당귀 직파재배는 기온이 따뜻한 중남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하는 방식으로 노지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