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특용작물

썸네일 1 땅콩 효능,효과,부작용과 땅콩 털기,말리기 유기농 텃밭재배로 수확한 땅콩을 비가림하우스 바닥에 넓게 펼쳐 6~7일간 땅콩 말리기를 하고 줄기에 주렁주렁 달린 땅콩 꼬투리를 털어 꼬투리 표면에 묻은 먼지와 이물질을 깨끗이 세척합니다 땅콩 털기와 세척을 마친 꼬투리는 다시 양지바른 곳에 널어 종실의 수분함량이 8~10%가 되도록 건조시켜 회전탈곡기로 탈협하거나 손으로 탈각하고 마지막으로 정선을 합니다 땅콩은 종자 파종으로 부터 땅콩 재배관리,수확,말리기,털기,까기,정선하기,보관하며 식용으로 활용까지 제법 손질을 많이 해야만 하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최적의 땅콩 수확시기의 판단은 첫서리가 내리기 전에 몇포기의 땅콩을 캐서 꼬투리의 성숙도를 직접 확인해 보고 결정하면 됩니다 수확한 땅콩 꼬투리의 그물 무늬가 비교적 선명하다면 종자가 충분하게 성숙되어 결.. 더보기
썸네일 1 삼채효능과 수확한 삼채쫑으로 삼채효소 담그기(만들기),거르기 삼채재배시 삼채뿌리의 수확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경우에는 7월 하순경 올라오는 삼채쫑을 수차례에 걸쳐 뽑아 주어야 합니다.삼채쫑을 적기에 뽑아주지 않으면 삼채꽃 봉오리가 생겨 꽃이 개화되고 종자가 결실을 맺는 생식성장에 많은 양분이 소비되므로 삼채뿌리의 비대 상태가 부실해집니다 7월 하순경 새하얀 삼채꽃의 개화모습으로 6월애 삼채밭에서 올라오는 삼채쫑을 뽑아주지 않으면 7월에 접어들면 빠르게 삼채꽃 봉오리가 생기고 삼채꽃이 개화가 됩니다 1.삼채효소 담그기와 거르기 7월말 삼채밭에 올라오는 삼채쫑을 수차례에 걸쳐 수확한 후 깨끗이 손질한 삼채쫑과 설탕을1:1 비율로 삼채효소 담그기(만들기)를 하였습니다 삼채쫑 효소를 담근 후 통풍이 잘 되는 선선한 그늘진 곳에 두고 발효를 시작한지 어느덧 100일 가량 지.. 더보기
썸네일 1 땅콩재배(수확방법,수확시기,캐기,말리기) 땅콩은 가뭄에 강한 작물이나 올해에는 여름 날씨가 평년 보다 매우 무더웠고 장마기간이 짧고 강우량도 적어 땅콩 재배환경이 그다지 좋지 못한 상황이었습니다 지속적인 가뭄으로 땅콩 재배밭 토양이 건조해지면서 잎이 마르고 줄기가 쓰러지는 증상을 보여 2~3일 간격으로 수차례 물을 주었더니 땅콩 잎과 줄기가 생기를 되찾고 그럭저럭 잘 생육해 주어 오늘 땅콩캐기를 시작해 봅니다 이번 포스팅은 땅콩재배와 관련한 땅콩 수확시기,수확의 적기와 수확방법,땅콩 캐기와 땅콩 꼬투리 말리기 방법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1.땅콩 수확시기 땅콩은 5월 초순에 종자를 파종하면 지역이나 기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땅콩 캐는 수확시기는 대략 9월 하순~10월 초순으로 일반적으로 땅콩 꽃이 개화되고 약60일 정도가.. 더보기
썸네일 1 도라지 효능과 백도라지꽃,청도라지꽃 도라지는 산과 들에서 뿌리가 굵고 줄기가 곧게 자라는 초롱꽃과 다년생 초본 쌍떡잎식물로 질경,길경,길경채,도랒,백약,산도라지라고도 불리우고 있습니다 흰색의 꽃이 피는 것을 백도라지,청자주색의 꽃이 피는 것을 청도라지라고 하며 백도라지꽃,청도라지꽃은 7~8월에 걸쳐 흰색 또는 청자주색(보라색)으로 옆이나 위를 향하여 꽃잎의 끝이 5개로 갈라져 퍼진 종모양의 꽃이 핍니다 8월의 만개한 백도라지꽃의 모습으로 도라지꽃은 암술 1개,수술 5개,씨방 5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진다고 합니다.도라지는 열매의 속이 여러개의 칸으로 나뉘어져 각각의 칸에 많은 종자가 들어 있는 삭과로 둥근 타원형의 계란모양을 하고 있습 니다 도라지 뿌리가 비대를 시작하는 시기는 꽃망울이 생기는 시점으로 도라지 꽃대가 올.. 더보기
썸네일 1 텃밭재배로 바질 키우기[수확시기,정식방법,순지르기,꽃 개화,꽃말] 상큼한 향에 살짝 매운맛이 나는 허브의 왕,민트과 향신채소인 바질은 원산지가 열대 아시아로 프랑스나 이탈리아 요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1년생 쌍떡잎 식물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바질 키우기와 관련한 바질 모종 정식방법(심는방법),순지르기(적심),바질 꽃 개화시기와 꽃말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4월 하순경 텃밭에 바질 씨앗을 직파하고 파종 35일 경과 시점인 5월 20일경 바질의 생장하는 모습입니다. 바질의 발아적온은 20~25°C 정도로 파종후 발아기간은 기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보통 8~14일 정도가 지나야 발아하며 싹이 올라옵니다 1.바질 모종 정식방법(심는방법) 바질은 기온이 낮은 이른 시기에 텃밭재배로 노지에 직파하면 발아기간이 길어지고 발아한 후 생육상태도 비교적 느리게 생.. 더보기
썸네일 1 삼채재배(월동 삼채의 수확과 삼채잎,뿌리 수확시기) 삼채의 원산지는 미얀마 히말라야산맥의 서늘한 고냉지 지역으로서 [삼채]라는 이름은 매운 맛,쌉쌀한 맛,단맛의 3가지 맛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라고 합니다 삼채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고 고온에 비교적 약한 생육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삼채재배시 한여름 7~8월의 무더위에 발생하는 잎마름병등 생육장해의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원도 고냉지가 삼채재배의 적지로 여겨지며 그밖의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평지에서 삼채를 재배하는 경우 1m 이상의 높이로 차광막(50%)을 설치하여 직사광선을 막고 바람이 잘 통하도록 통풍 관리를 하여야 합니다 지난 가을에 삼채뿌리를 수확하지 않고 월동시킨 2년차 삼채의 4월 중순 생장하고 있는 모습으로 삼채잎과 삼채뿌리의 수확을 목적으로 몇포기 정도 수확하지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