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나리과

썸네일 1 당근잎가루 만들기,당근잎 말리기 텃밭에 나가 크고 견실한 당근 수확을 위해 포기 사이의 간격이 10cm 이상 유지되도록 솎음주기 작업을 하면서 주변의 잡초도 함께 제거해 줍니다 친환경 농법으로 수확한 수확한 어리고 부드러운 당근잎은 쌈채소,샐러드,나물무침 등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또한 손질한 당근앞을 통풍이 잘 되는 음지에서 말려 당근잎가루를 만들어 두고 각종 요리에 활용하면 좋습니다 솎아주기로 수확한 부드러운 당근잎과 줄기를 말리기 위해 흐르는 물에 여러번 깨끗이 세척하고 당근잎과 뿌리를 분리합니다. 당근잎과 줄기에도 당근 뿌리에 못지 않은 베타카로틴,비타민류 및 각종 무기질 영양소가 풍부해 암 예방은 물론 야맹증,백내장,면역력 강화,신경통 완화,변비해소 및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당근잎가루 만들기를 위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차.. 더보기
썸네일 1 파슬리 재배(수확시기,방법,솎아주기,곁가지 제거) 3월 하순 텃밭에 노지재배로 이탈리아산 파슬리 씨앗을 파종했는데 6월 중순을 지나면서 생육상태가 매우 왕성하여 머지않아 파슬리 수확시기가 도래할 듯 합니다 1.파슬리 재배시기(파종시기와 수확시기) 파슬리 수확시기는 봄파종 재배로 온실에서 1~4월에 씨앗을 파종하면 4~6월부터 파슬리 수확이 가능하며 노지에서도 4월 초순에 파슬리 씨앗을 파종하면 6월 하순부터 10월 하순에 걸쳐 수시로 파슬리 수확이 가능합니다 파슬리 여름재배는 주로 노지에 종자를 직파하는 방법으로 재배하고 있으며 노지에 6~8월경 파슬리 종자를 파종하고 11월 부터 수확을 시작하여 겨울철 월동을 거쳐 이듬해 4월까지 수확하는 작형으로 제주도나 남부해안 지역에 알맞은 재배작형이라고 합니다 2.파슬리 솎아주기와 곁가지 제거 파슬리 종자를 노.. 더보기
썸네일 1 당근잎 효능과 독성(당근 솎음수확,솎아주기) 당근은 산형화목 미나리과 1~2년생 쌍떡잎식물로 따뜻한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 월동이 가능하지만 중부지방이나 북부지방에서는 1년생으로 봄과 가을에 파종합니다. 중부지방에서는 당근 씨앗을 3월 하순~4월 초순에 파종하면 7~8월에 흰색의 당근꽃이 피고 8~9월에 열매가 열려 씨앗이 익어갑니다 당근의 품종은 크게 동양계와 서양계로 분류되며 동양계 품종은 줄기의 크기가 30~80cm로 성장하고 당근뿌리는 진한 적색을 띠며 서양계 품종은 줄기가 15~20cm정도로 짧고 당근뿌리는 주황색을 띠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서양계 품종을 재배하고 있다고 합니다 당근은 본잎이 6~7매로 성장하는 시기에 포기간격이 12cm이상 유지되도록 솎아주기 작업을 해야만 굵고 튼실한 우량의 당근을 수확할 수가 있습니다 당근잎과 줄기에도 .. 더보기
썸네일 1 당근효능과 당근 조리법,먹는법 당근은 산형화목 미나리과에 속하는 쌍떡잎 식물로 당나라 시기에 들어온 뿌리식물이라고 해서 당근, 붉은색을 띠고 있다고 해서 홍당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비타민A의 황제]라고 불리는 당근은 쑥, 마늘과 함께 [성인병 예방의 3대 식물]로서 당근에는 베타카로틴,비타민A,C,칼슘,식이섬유 등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암 예방,고혈압 예방,노화방지,눈 건강,골다공증,면역력 강화 등 인체의 건강에 이로운 여러가지 효능을 가지고 있는 건강채소입니다 1.당근 효능 (1).당근의 노화방지와 암 예방 효능 당근은 녹황색 채소중 베타카로틴 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된 건강채소로서 베타카로틴의 항산화 작용으로 노화방지의 효과와 암 예방의 효능이 탁월하다고 합니다 (2).당근의 탁월한 눈 건강 효능 당근 특.. 더보기
썸네일 1 파슬리 재배(파종시기,방법,간격,발아,정식) 파슬리는 품종에 따라서 높이가 20~50cm의 크기로 생육하는 산형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식물로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이라고 합니다. 또한 파슬리는 뿌리를 땅속 깊이 내리고 생육하는 직근성과 저온에 강한 호냉성 작물이지만 고온과 가뭄에는 다소 생장력이 떨어지는 생육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1.파슬리 파종시기와 거름주기(밑거름) 파슬리의 생육적온은 15~20°C 정도로 온도가 25°C 이상으로 상승하는 고온기에는 생육상태가 불량해진다고 합니다 온도에 대한 파슬리의 생육특성을 고려해 보면 온상이나 가온하우스 등 시설재배의 경우 파슬리 종자 심는시기(파종시기)는 1~4월 초순에 걸쳐 폭 넓게 파종할수 있지만 노지재배의 경우 파슬리의 심는시기(파종시기)는 3월 중순~3월 하순이 가장 적절한 시점으로 판단됩니다 .. 더보기
썸네일 1 신선초 파종시기와 방법 신선초는 기후가 따뜻하고 습도가 높은 아열대 지역에서 잘 자라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재배하고 있는 작물입니다 신선초 봄재배시 씨앗 파종시기(심는시기)는 봄3월 중순~4월 중순이고 수확시기는 8~9월입니다. 또한 신선초 가을재배시 씨앗 파종시기(심는시기)는 9월 초순~10월 초순이고 수확시기는 이듬해 5월 중순부터 가을에 걸쳐 수확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신선초는 부식질이 풍부한 사양토나 부식토의 그늘진 서늘한 곳에서 생육이 양호하기 때문에 신선초 파종장소를 살구나무 아래 그늘진 곳으로 선정하고 신선초 씨앗 파종 2주전에 거름주기로 주변의 낙엽과 깻묵퇴비를 넣고 재배밭을 깊숙이 일구어 둡니다 참고로 신선초 재배시 재배밭의 밑거름 표준시비량은 1,000제곱미터 기준으로 퇴비3,000kg,..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