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썸네일 1 고구마 재배밭 관리방법[토양요건,거름주기,물주기/물관리,북주기/배토,김매기,순지르기,덩굴뒤집기] 고구마는 가뭄에 비교적 강하고 토양 적응성이 넓어 토성,경사도,지하수위의 위치 등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으며 또한 거름의 흡비력이 강해 척박한 토양에서도 비교적 생육이 좋아 전국적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는 작물입니다 하지만 다른 작물에 비해 고구마 재배관리의 방법이 간단하고 용이하다고 하더라도 고구마 재배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숙지하지 못하고 재배관리를 소홀히 한다면 결코 각자가 원하는 품질과 수확량을 얻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고구마 재배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사항 중에서 고구마 재배밭의 토양요건,거름주기,물주기(물관리),북주기(배토),김매기,순지르기,덩굴 뒤집기 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합니다 1.고구마 재배지의 토양요건 고구마는 토양 적응성이 강해 토양산도 ph4.2~7.0의 범위 내에서.. 더보기
썸네일 1 김장배추 재배[모종 심는방법,아주심기 시기와 가을배추 거름주기,수분관리] 배추는 기후가 서늘하고 토양의 배수력과 보수력이 있는 사질양토에서 생육이 왕성한 배추과 작물로 노지의 배추재배는 주로 김장용으로 가을에 김장배추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김장용 가을배추는 텃밭에 종자를 직파하는 방법으로 재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가을 김장배추 모종을 본밭에 정식하는 8월은 기온이 무더운 고온기로 배추의 생육특성상 환경이 좋지 않아 직파재배시 각종 생육장해 및 병충해 발생 등으로 배추의 품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노지의 가을 김장배추 재배는 주로 모종판에 배추 종자를 파종하고 약20일간 배추 모종을 육묘(어린 모 키우기)하여 본밭에 정식(아주심기)하는 방법으로 재배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가을 김장배추 재배법과 관련한 김장배추 모종 심는시기(아주심기)와 김장배추 재배밭 거름주기.. 더보기
썸네일 1 가을 김장배추 재배방법[파종,발아,정식,수확시기와 육묘(모 키우기)] 배추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호냉성 채소로 배수가 잘 되고 보수력이 양호한 토양에서 비교적 생육이 왕성합니다. 배추의 생육적온은 18~20°C 정도로 선선한 환경조건에서 잘 자라는 생육특성을 가지고 있어 노지의 텃밭재배로 배추를 재배하는 경우 봄재배 보다는 서늘한 기후가 지속되는 기간이 긴 가을재배가 배추 수확량과 품질적인 측면에 있어서 보다 유리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가을 김장배추 재배와 관련한 배추 작형별 재배시기,모종판 포트를 이용한 배추 종자 파종하는 방법과 배추 모종을 육묘(어린 모 키우기)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합니다 1.배추 작형별 재배시기 배추는 고랭지재배,하우스재배,터널재배,노지재배 등 다양한 재배작형이 확립되어 있어 사시사철 배추 종자의 파종과 수확이 가능하지만 배추.. 더보기
썸네일 1 호랑이넝쿨강낭콩 재배[수확한 강낭콩 건조,보관방법과 생육일지(강낭콩꽃 개화,꼬투리 비대기,성숙기,수확시기)] 금년 강낭콩 재배로 호랑이넝쿨강낭콩 품종을 선정하고 4월 초순(4월9일) 종자 파종 후 7월 중순에 접어들면서 호랑이콩 수확시기가 도래합니다.호랑이콩 첫 수확은 먼저 하단부의 꼬투리가 붉은색에서 갈색으로 성숙되고 호랑이콩 꼬투리의 얼룩무늬가 햇빛에 의해 하얗게 변색된 것 위주로 수확(7월17일)을 하였습니다 호랑이강낭콩 파종시기는 4월 하순~7월 하순이며 또한 호랑콩 수확시기는 7월 중순~10월 하순입니다.올해 호랑이콩 파종은 다소 이른 시기인 4월 초순에 파종하였고 파종 후 지속적인 가뭄으로 토양이 메마르는 등 기후적 조건이 매우 좋지 않았습니다.그 결과 호랑이넝쿨강낭콩의 조기 생육기간이 짧아져 7월 하순~8월 초순경이면 호랑이넝쿨강낭콩 수확이 마무리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호랑이넝쿨강낭콩 .. 더보기
썸네일 1 당귀재배법[참당귀꽃,일당귀꽃 개화시기,꽃말,종자 채종과 조기 추대현상] 당귀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한약재로 당귀의 뿌리에 함유된 풍부한 [데크루신]과 [데크루시놀 안젤레이트]성분은 건강에 약효가 매우 뛰어나 [당귀를 먹으면 집을 떠났던 남편도 마땅히 돌아온다]는 뜻이 담겨 있는 이름이라고 합니다 당귀의 종류는 우리나라 산간 고랭지의 습한 지역에서 자생하는 참당귀와 일본의 일당귀(왜당귀),중국의 중국당귀로 구분되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참당귀와 일당귀가 재배되고 있으나 중국당귀는 기후 조건이 맞지 않아 재배가 어렵다고 합니다 1.당귀 재배지의 선정 당귀 서식지는 해발 500m 이상,7~8월의 평균기온이 20~22°C 정도의 서늘한 중북부 산간의 고랭지 지역으로 당귀의 재배지를 선정할 때에는 이를 고려하여 서늘하고 그늘진 경사지에서 재배해야 양질의 수확량이 증가하고 꽃대도 적.. 더보기
썸네일 1 빨간감자(홍감자),가을감자 재배[심기,파종,심는시기,방법,수확시기] 감자는 기후가 서늘하고 낮과 밤의 온도의 차이가 큰 지역에서 생육이 왕성한 저온성 작물로 우리나라 가을의 기후는 고온에서 점차 저온으로 떨어지고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크고 일장도 단일로 변화가 되므로 가을감자의 생육에 아주 좋은 재배 환경이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감자 재배와 관련한 홍감자(가을감자) 심는시기(파종시기)와 수확시기,홍감자 재배밭 밑거름주기,씨감자 절단방법과 절단면 치유방법,홍감자(가을감자) 심는방법(파종방법)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1.가을감자(홍감자) 재배시기(1).홍감자(빨간감자) 가을재배(a).홍감자(가을감자) 심는시기(파종시기)가을감자는 가능하면 일찍 파종하는 것이 유리하나 온도가 높고 잦은 강우로 습도가 높아지면 씨감자의 부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기온이 점..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