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실수

썸네일 1 밤나무[묘목 심는시기와 방법,개화시기,밤 떨어지는 수확시기,밤 따는 수확법,병충해 방제,약제(농약) 소독시기] 밤나무는 뿌리를 넓고 깊게 뻗으며 생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토양의 가뭄에 강하고 토양의 적응력이 넓은 참나무과 낙엽활엽교목으로 토심이 깊고 배수가 잘 되며 유기질이 풍부한 비옥한 토양산도 약산성(pH5.0~6.0)의 양토나 사질양토에서 생육이 왕성합니다 밤나무 재배지는 서향 보다는 동향이 보다 좋으며 햇빛이 잘 드는 양지바른 곳,겨울철 날씨가 너무 춥지 않은 곳,여름철 강우시 배수가 잘 되는 곳,바람이 강하게 불지 않는 곳에서 재배해야 생육장해의 발생이 적고 밤 품질이 좋아집니다 밤나무 재배의 적지는 연평균 기온이 10~14°C 정도,4~10월의 평균기온이 16~20°C 정도인 지역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 각지에서 밤나무 재배가 가능합니다 오늘은 밤나무 재배와 관련한 밤나무 묘목 심는시기와 심는방법.. 더보기
썸네일 1 대추나무 묘목 심기[심는시기,대추 개화시기,수확적기와 수확방법] 대추나무의 원산지는 유럽 동남부와 아시아 동남부 지역으로 대추나무는 키가 7~8m의 높이로 자라는 갈매나무과 낙엽교목입니다. 대추나무는 연평균 기온이 8°C 이상,연중 최저온도가 -28°C 이상인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이 재배의 적지로 대추나무는 내한성,내건성 및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토양의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사질양토에서 생육이 왕성합니다 대추나무는 토양의 적응력이 비교적 넓고 강한편이지만 토양이 습한 곳에서는 매우 취약해 단기간의 침수에도 낙과율이 상승하고 잎이 말라가며 고사하는 등 피해가 발생되므로 대추 재배지를 결정할 때는 토양이 습한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추는 풍요와 다산의 의미가 담겨 있는 과실로 혼례를 마치고 폐백할 때 다산,다남을 기원하는 의미로 대추를 신랑,신부에게 던져.. 더보기
썸네일 1 살구효능,독성,부작용과 살구수확 살구나무는 수고가 5m의 높이로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 매년 4월 초순이 다가오면 집 뒷편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살구나무에는 연분홍 살구꽃이 한 바탕 피고 지면 살구 열매가 주렁주렁 달려 비대를 시작합니다 5월 하순이 다가오면서 살구의 과육이 황색 빛깔로 익어가더니 6월 중순에 접어들자 탐스럽게 익은 살구 열매가 하나~둘씩 땅 아래로 떨어지기 시작하며 살구 수확시기가 도래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듯 합니다 보통 살구 수확시기는 6월 중순~7월 중순경으로 이곳 중부지방은 매년 6월 중순이 되면 수확시기가 도래하며 본격적인 여름장마가 시작되기 전에 서둘러 살구 수확(6월18일)을 합니다 새콤달콤한 맛의 살구는 부패가 비교적 빨라 장기보관이 어렵기 때문에 6월 한철의 짧은 기간에만 생과로 즐길 수 있으며 수확한 살.. 더보기
썸네일 1 매실(매화)나무 관찰일기[설중매,매화꽃 개화,꽃말,매실(청매,황매) 수확시기 도래] 매화는 차가운 눈과 서리를 결코 두러워하지 않고 온갖 꽃들이 피기도 전에 가장 먼저 연분홍 빛깔의 매화꽃을 피우고 향기로운 꽃내음을 뿜어내며 우리에게 반가운 봄소식을 전해옵니다 4군자의 하나인 매화의 원산지는 중국 호북성과 사천성의 산간지역으로 매화나무는 키가 5~10m의 높이로 생육하는 장미과 낙엽성 활엽교목입니다 만물이 소생하는 춘삼월,집 뒷편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매화나무(매실나무) 가지에 매화 꽃봉오리가 맺혀 있더니 어느새 연분홍 매화꽃이 피고 있습니다 연분홍 빛깔의 매화꽃이 한창 개화하고 있는 3월 하순(3월31일)의 모습으로 매화나무의 [매화]는 꽃을 강조한 것이고 매실나무의 [매실]은 열매를 강조한 것으로 매화나무는 매실나무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또한 매화는 하얀 눈속에서 꽃이 핀다고 하여 .. 더보기
썸네일 1 대봉감 수확시기와 수확한 대봉시감으로 홍시 만드는 방법 4년전 마당 정문 주변에 대봉감나무 묘목을 2그루 식재하였는데 작년에는 1그루에 4~5개의 대봉감이 열리더니 올해에는 40~50개 정도로 주먹만한 크기의 튼실한 대봉감이 열려 오늘은 비교적 풍성하게 대봉감 수확을 합니다 감의 품종은 매우 다양하나 감의 종류는 크게 단감과 땡감(떫은감)으로 나뉘어집니다. 단감은 떫지 않고 단맛이 나기 때문에 단단하고 아삭아삭한 생감으로도 즐길 수 있지만 땡감은 감에 함유된 탄닌성분에 의한 떫은 맛이 강해 생감으로는 이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곶감이나 홍시를 만들어 이용해야 합니다 대봉감은 땡감의 일종으로 대봉감의 수확시기는 지역이나 기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10월 중순~11월 하순입니다. 이곳 중부지방은 11월 초순이 되면 서리가 내리고 날씨가 싸늘해져 대봉.. 더보기
썸네일 1 밤나무(밤줍기,수확시기,밤나무꽃,병해충,밤 보관방법) 9월 추석이 지나면서 집 뒷편 언덕에 수백년간 자생하고 있는 재래종, 밤나무에서 밤이 여물어 밤송이가 4갈레로 벌어지며 하나~둘씩 햇밤이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밤나무 수령이 오래되어 키가 아주 높고 둘레 지름도 무려 100cm 이상으로 아주 거대한 밤나무이기 때문에 인위적인 방법으로 밤을 수확하기는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고 단지 밤 수확시기가 도래하여 밤송이가 터지며 알밤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밤나무 주변에 떨어지는 밤을 서둘러 밤줍기를 하면 됩니다 밤나무는 주로 산기슭에 자생하는 참나무과 낙엽교목으로 6월에 백색의 밤나무꽃이 개화하며 밤나무꽃은 암수 한그루로서 수꽃은 긴 꼬리 모양의 꽃이삭에 열리고 암꽃은 그 아래에 2~3개가 열립니다 밤나무의 열매인 밤은 밤송이 하나에 1~3개의 알밤이 들어있으며 알밤이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