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상화목

라일락(서양수수꽃다리)꽃 피는 개화시기와 꽃말,품종과 종류,묘목 심기(심는시기와 정식방법)와 가지전정(가지치기)

반응형

라일락은 관상용 정원수나 공원수로 많이 식재하는 물푸레나무과 낙엽성 관목으로 원산지는 세르비아,마케도니아 지역이며 라일락은 현재 남동유럽에서 동아시아 지역에 걸쳐 20여종이 자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라일락 꽃뭉치가 수수의 모양과 흡사하다고 해서 우리나라(제주도와 황해도,강원도 이북의 산간지) 자생의 라일락을 "수수꽃다리",유럽 원산의 라일락을 "서양수수꽃다리" 라고 부릅니다

이번 포스팅은 라일락(서양수수꽃다리)의 생태적 특성,라일락 꽃 피는 개화시기와 꽃말,품종과 종류,라일락 묘목 심기(심는시가와 정식방법)와 생육관리(정식 후 생육초기 관리와 가지전정)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라일락-꽃-피는-개화시기-꽃말-품종-종류
라일락 꽃 피는 개화시기와 꽃말

1.라일락 생태적 특성


라일락은 줄기의 키가 3~6m의 높이로 자라는 낙엽성 관목으로 잎은 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서로 마주나고 잎밑은 대체로 둥글지만 얕은 심장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또한 잎의 크기는 길이 6~12cm,너비 5~8cm로 잎면에 털이 없고 굉택이 나며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밋밋합니다

(1).라일락(서양수수꽃다리) 꽃 피는 개화시기

라일락(서양수수꽃다리) 꽃 피는 개화시기는 지역과 품종에 따라  4월 부터 6월까지로 원추형 모양의 꽃차례가 작년에 자란 가지의 끝에 형성되어 품종에 따라 흰색,연자주색,자주색,붉은색의 꽃이 순차적으로 개화됩니다

라일락 꽃 화관은 깔때기 모양으로 끝이 4갈래로 갈라지고 꽃의 직경은 2cm정도이며 꽃통에 암술 1개와 수술 2개가 붙어 있고 열매는 삭과로 9월에 종자가 익어갑니다

(2).라일락 꽃말

라일락 꽃은 품종에 따라 흰색,자주색,붉은색 등 다양한 색깔과 홑꽃,겹꽃 등 다채로운 꽃이 개화됩니다.라일락은 꽃의 형상과 색깔이 다양한 만큼 꽃말도 색깔에 따라 여러가지를 갖고 있습니다

흰색 라일락의 꽃말은 [순결,순수,아름다운 맹세]를 의미하고 붉은색과 분홍색의 라일락 꽃말은 [친구 사이의 우정과 사랑]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또한 자주색 라일락의 꽃말은 [첫사랑,사랑의 싹,사랑의 시작]으로 만약 서로 사랑을 시작하는 연인의 관계라면 자주색 라일락 꽃을 선물하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2.라일락 품종과 종류


(1).라일락 품종

라일락은 현재 다양한 화형과 화색으로 2,000여개의 품종이 개발되어 있으며 꽃의 향이 진하고 좋아 주로 향수나 비누,섬유유연제,섬유탈취제 등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라일락은 대체적으로 흰색이나 자주색 꽃을 피우는 품종이 많은 편입니다.꽃의 형상이 겹꽃인 라일락 품종은 화방이 풍성하고 볼륨감이 있어 주로 꽃꽃이,꽃다발,화환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a).흰색계 품종

흰색계 라일락은 품종에 따라 홑꽃과 겹꽃으로 구분됩니다.흰색계로 겹꽃인 품종은 화방의 볼륨감이 좋고 수세가 강한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b).자색계 품종

자색계 라일락 품종은 홑꽃으로 화색(꽃 색깔)은 자주색 또는 담자색입니다.이 품종은 대부분 만생종으로 화방의 볼륨감이 풍성한 편입니다

(2).라일락 종류

(a).일반라일락

일반라일락은 내한성이 강하고 꽃의 향기가 좋아 인기가 많은 품종으로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 주로 가정의 정원수나 생울타리용으로 널리 식재하고 있습니다

(b).미스김라일락

미스김라일락은 잔가지가 많이 나와 수형이 좋고 조경적 가치가 높아 관상용 정원수로 식재하면 좋습니다.또한 내한성이 강하고 병충해에 대한 내병성이 강해 전국 어디에서도 생육이 잘 되며 4~5월에 자주색 꽃이 피어납니다

미스김라일락은 일반라일락에 비해 키가 작고 잎과 꽃이 작으며 또한 일반라일락에 꽃의 향기가 2배 정도 진하고 꽃 피는 개화기간이 길게 이어집니다

(c).팅거벨라일락

팅거벨라일락은 수고 2~3m정도로 키가 작은 품종으로 5월경 아기자기한 많은 꽃이 진분홍색으로 조밀하게 개화가 진행됩니다.팅거벨라일락은 수고가 높지 않고 진한 향이 좋아 조경용 정원수나 관상용으로 화분에 심어 키우며 꽃을 감상하는 것도 좋습니다

(d).다크퍼플라일락

다크퍼플라일락은 수수꽃다리속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봄과 가을 2회에 걸쳐 아름답고 볼륨감 있는 보라색 꽃이 피어납니다.다크퍼플라일락은 진한 향과 볼륨감 있는 꽃이 매력적인 품종으로 내한성과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가정의 조경용 정원수나 관상용으로 화분에 키우는 것도 좋습니다

 

라일락-묘목-심기-심는시기-정식시기-심는방법-정식방법-가지전정-가지치기
라일락 묘목 심기(심는시기와 정식방법)

3.라일락 묘목 심기와 생육관리


(1).라일락 묘목 심기(묘목 심는시기와 정식방법)

라일락은 보수력이 있는 양지의 사질양토에서 생육이 왕성하고 내한성과 병충해에 대한 내병성이 강한 식물로 우리나라 각지에서 묘목을 식재하고 가꾸는 것이 가능합니다

(a).라일락 묘목 심는시기(정식시기)

라일락은 토심이 깊고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토양에서 생육이 잘 됩니다.라일락 묘목 심는시기(정식시기)는 낙엽이 떨어진 늦가을부터 이른 봄까지로 라일락 묘목 심기는 가능하면 봄 보다는 기온이 낮은 저온으로 떨어지지 않는 가을에 정식하는 것이 좋습니다.만약 가을에 라일락 묘목을 정식할 수 없는 사정이 있다면 묘목을 한데 모아 가식해 두었다가 이른 봄에 정식하면 됩니다

(b).라일락 묘목 심는방법(정식방법)

라일락 묘목 식재지는 햇빛이 잘 들고 토양의 보수력이 있으며 유기질이 풍부한 토양산도가 약산성(pH5.5~6.5)인 사질양토로 선정합니다.만약 토양이 척박하고 물리성이 약한 경우 토양속에 유기물을 충분히 넣고 토양을 개량한 후 묘목 심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①.라일락 묘목의 수형과 뿌리의 조기 활착을 위하여 불필요한 긴 가지와 잔뿌리를 잘라 정리합니다
②.라일락 묘목 재식거리는 주간 75~100cm간격으로 묘목 식재시 뿌리가 충분히 묻힐 수 있도록 묘목 뿌리 덩어리의 1.5배 이상의 크기로 정식 구덩이를  만듭니다

③.정식 구덩이 바닥면에 5cm의 두께로 흙을 깔아주고 그 위에 묘목의 뿌리가 접히지 않도록 곧게 펼쳐 식재한 후 구덩이의 2/3정도를 흙으로 복토합니다.이때 접목묘는 접목 부위의 비닐테이프를 제거하고 묘목 심는 깊이는 원래 묘목 상태의 심겨진 깊이 보다 깊지 않도록 심는 것이 중요합니다

④.묘목의 뿌리 사이에 흙이 잘 채워지도록 묘목을 상측으로 살짝 당겨 흔들어 곧게 세우고 정식 구덩이 주변을 가볍게 밟아줍니다
⑤.구덩이에 물을 충분히 붓고 수분이 토양속 깊숙이 스며들며 뿌리 사이로 흙이 채워지도록 정식 구덩이에 물을 충분히 넣어줍니다
⑥.정식 구덩이의 남은 부분을 지면보다 약간 높게 복토하고 묘목의 원줄기 가장자리를 흙으로 북돋워 물을 가둘수 있는 물집을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물집에 물을 충분히 붓고 수분이 모두 토양속으로 스며들면 건조방지와 보온을 위하여 정식 구덩이 부분을 비닐이나 주변의 낙엽 등으로 멀칭한 후 라일락 묘목심기를 마치면 됩니다

(2).라일락 생육관리

(a).라일락 묘목 정식 후 생육초기 관리

라일락 묘목 정식 후 가뭄이 계속되면 토양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물을 주어야 뿌리가 조기에 활착되고 초기의 생육이 왕성해집니다.또한 정식 후 생육초기에는 줄기가 옆으로 기울거나 도복될 우려가 있으므로 지주대에 줄기를 고정시켜 비바람에도 묘목이 쓰러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생육초기의 수세가 약해지는 경우 이른 봄에 웃거름(10a)으로 질소1kg,인산1kg,칼리1kg정도를 시비해 주고 개화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꽃봉오리가 발생하면 조기에 제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b).라일락 가지전정(가지치기)

라일락 가지전정(가지치기)은 보통 이른 봄과 휴면기간인 겨울에 실시하며 상황에 따라 채화시나 채화작업을 마치고 실시할 수도 있습니다.이른 봄 가지전정은 수형을 복잡하게 하는 안쪽의 뒤엉킨 가지와 약한 가지를 위주로 제거하고 품종 또는 수세에 따라 10~20개의 가지만 남기는 수준으로 전정작업(가지치기)을 실시하면 됩니다

또한 겨울철 가지전정은 이듬해 개화용 꽃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꽃눈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수광과 통풍에 방해가 되는 가지를 위주로 전정작업(가지치기)을 실시하면 됩니다.라일락 가지의 강전정은 통상 정식 2~3년 후 수세에 따라 전정의 강도와 위치를 적당한 수준으로 조절하여 실시하면 됩니다

반응형